여성권한 척도라는 것이 있습니다.
UNDP 여성권한척도 : 정치.경제 분야의 중요한 정책결정의 행사에서 여성참여 정도를 지표화한 것
이 지표는 전세계를 상대로 조사를 하는데요.
지수는의 구성지표는 ① 국회의원 여성비율 ② 입법, 고위임직원 및 관리직(행정관리직) 여성비율 ③ 전문기술직 여성비율 ④ 남녀소득비(변수 : 남녀별 1인당 GDP.임금.경제활동인구.전체인구)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성부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여성권한척도 2007년 순위가 93개국 중에서 64위로 전년에 비해 11계단 하락 ('04년 : 68위 → '05년 : 59위 → '06년 : 53위 → '07년 : 64위) 한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부끄러운 현실입니다. 93개 대상국가의 구성요소별 평균 수치를 보면, 여성행정관리직 28.95%, 여성전문기술직 47.92%, 남녀소득비 0.53인데 비해 우리나라는 각각 8%, 39%, 0.40에 머무르고 있네요.
각 국가 순위 
| 2007년 | 순위 | 점수 | 여성의원비율(%) | 여성행정관리직(%) | 여성전문기술직(%) | 남녀소득비 | 
| 한국 | 64 | 0.510 | 13.4 | 8 | 39 | 0.40 | 
| 노르웨이 | 1 | 0.910 | 37.9 | 30 | 50 | 0.77 | 
| 호주 | 8 | 0.847 | 28.3 | 37 | 56 | 0.7 | 
| 스웨덴 | 2 | 0.906 | 47.3 | 30 | 51 | 0.81 | 
| 미국 | 15 | 0.762 | 16.3 | 42 | 56 | 0.63 | 
| 네덜란드 | 6 | 0.859 | 36 | 26 | 50 | 0.64 | 
| 일본 | 54 | 0.557 | 11.1 | 10 | 46 | 0.45 | 
| 영국 | 14 | 0.783 | 19.3 | 34 | 47 | 0.66 | 
| 독일 | 9 | 0.831 | 30.6 | 37 | 50 | 0.58 | 
 참고적으로 노르웨이가 1등이고 스웨덴이 2등이군요. 이런 현실을 부끄러워 하면서 여성들이 좀 더 사회에서 많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내년도에는 순위가 30위 쯤은 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우리의 활동 > 오늘의정보공개청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청와대는숨길것도 참 많아요~ (0) | 2009.04.02 | 
|---|---|
| 한국 여성 국회의원 비율 전세계 81위?! (5) | 2009.04.01 | 
| 해마다 강해져가는 봄철 불청객 "황사" (0) | 2009.03.31 | 
| 전국의 교육감들은 어떤 차를 타고 다니나? (0) | 2009.03.30 | 
| 어느지역 공무원이 가장 청렴할까? (1) | 2009.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