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활동/오늘의정보공개청구

지자체 기록물 생산량 최대 수백배 차이, 어떻게 이럴 수 있지?

opengirok 2011. 9. 29. 15:57

지난해 공공기관이 얼마나 일했는지 확인해 보기 위해 2010년 기록물 생산현황에 대해 정보공개청구를 해 보았다. 모든 일에는 결과가 남게 마련이니 기록 생산현황만 보더라도 대강 얼마나 일했는지는 알 수 있는 터다. 더구나 ‘공무원은 문서로 얘기한다’는 우스개 소리도 있지 않은가.

그런데 공개한 자료를 보다보니 이상한점이 보인다. 기록 생산량이 터무니 없는 기관들이 있는가 하면 중요기록의 양 역시 적은 수치다.


기록 생산이 적다는 것은??

                        <2010년 광역자치단체 일반기록물 생산현황> (단위 : 권)

기관

영구

준영구

30년

10년

5년

3년

1년

강원도

1,588,268

56,334

69,798

116,771

362,489

609,766

360,539

12,571

경기도

75,467

4,348

14,770

6,023

4,505

18,469

25,477

1,875

경상남도

31,787

689

6,197

500

2,517

15,085

6,112

687

경상북도

20,023

2,241

771

61

1,867

7,856

7,093

134

광주광역시

7,300

440

645

33

1,430

3,361

1,327

64

대구광역시

12,744

876

806

82

1,528

6,466

2,834

152

대전광역시

10,121

281

389

107

967

5,582

2,741

54

부산광역시

19,739

597

1,512

137

4,339

8,168

4,805

181

서울특별시

55,537

1,321

338

741

3,743

23,905

24,612

877

울산광역시

9,359

504

583

212

1,085

4,860

1,988

127

인천광역시

15,324

934

813

383

1,241

9,617

2,188

148

전라남도

17,069

374

559

107

2,468

7,234

5,890

437

전라북도

9,580

249

324

45

757

4,540

3,592

73

제주특별자치도

37,463

4,249

3,028

400

7,381

19,521

2,595

289

충청남도

27,535

831

4,366

1,669

3,167

12,355

5,087

60

충청북도

11,075

282

461

193

762

5,681

3,639

57

위의 표는 2010년 광역자치단체의 일반기록물(비밀기록물 제외) 생산현황이다. 자료를 살펴보니 기관마다 기록물을 생산하는 양이 천차만별이다. 지난해 강원도는 158만여 권의 기록을 생산했다. 반면 광주광역시는 기록 생산량이 7300권에 그친다. 무려 217배나 차이가 나는 것이다. 전라북도와 울산광역시 역시 전년도 기록생산량이 1만권이 채 되지 않는다. 가장 큰 자치단체인 경기도가 75,000여 권, 서울특별시는 55,000여 권으로 이 역시 강원도에 비해 턱없이 낮은 숫자이다. 지자체들의 각기 다른 규모나 처지를 고려한다 하더라도 이는 너무 큰 차이다. 심지어 강원도는 행정규모 상 그리 큰 기관이라고 볼 수도 없다.
이러한 결과를 보니 공공기관이 기록생산현황통보를 제대로 하지 않거나, 어쩌면 기록을 정말 조금밖에 생산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생산현황통보가 제대로 되지 않는 다는 것은 기록의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는 뜻이고 기록 생산이 적다는 것은 공공기관이 일을 제대로 하지 않았다는 이야기다.
어떤 식의 가정이든 그 문제의 심각성은 변함없는 사실이다.
기록 생산의 주체인 각 지자체와 우리나라 공공기록 관리의 주체인 국가기록원은 어떻게 이렇게 기록 생산량에 차이가 날 수 있는지 납득할 만한 설명을 해야 할 것이다.

영구, 준영구 기록이 적다는 것에 큰 우려를 표한다.

공공기관에서 생산한 기록이라고 해서 모두 다 영구히 보존하는 것은 아니다. 그 중요도에 따라서 영구보존하거나 폐기를 하기도 한다. 법에 따르면 기록물의 보존기간은 영구, 준영구, 30년, 10년, 5년, 3년, 1년으로 구분하여 관리하도록 되어있다.

기록물 보존기간별 책정기준 보러 가기 클릭
 
하지만 이 자료를 보면 전체 기록물 중 영구와 준영구로 책정된 기록의 비율이 그리 높지 않은 것 같다. 서울특별시의 경우는 전체 기록의 3%만이 영구 혹은 준영구로 관리될 뿐이다. 공공기관의 핵심적인 업무수행을 증명하는 기록, 개인이나 단체의 권리와 의무 등을 증명하는 기록, 우리 사회의 역사경험을 증명할 수 있는 기록 등이 영구 혹은 준영구로 관리된다고 하는데, 3% 정도의 기록만으로도 후대에 지금의 서울을 기억할 수 있을까 의구심이 든다. 당대가 후대에 기억되고 역사화 하는 데에는 기록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기록이 없으면 역사도 없다.

 
여기 한 지주가  몇몇 농부에게 소작을 놓았다. 가을이 되어 소출을 보니, 어느 땅에서는 수십가마의 수확이 있고, 다른 땅의 수확은 그 1/10에도 못 미친다. 어느 땅만 유독 기름진 것도 아니고, 유달리 넓은것도 아닌데 왜 이렇게 결과가 다른지 이상할 따름이다.
소작농이 게을러 땅을 잘 돌보지 않았던가, 수확량을 거짓으로 말한 것은 아닐까.. 땅은 정직해서 거짓말을 하지 않으니 말이다.

2010년 공공기관 일반기록물 생산현황 자료를 파일로 첨부합니다.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