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에 지난 2008년~2011년 10월까지의 정보공개 현황에 대해 정보공개청구 해 봤습니다. 
< 서울시청(본청) 정보공개 처리현황 > 
* 취하 및 민원이첩 제외
| 구 분 | 청구건수 | 처리현황 | |||
| 소 계 | 전부공개 | 부분공개 | 비공개 | ||
| 계 | 8,598 | 8,598 | 7,083 | 848 | 667 | 
| 2011.10 | 1,731 | 1,731 | 1,468 | 171 | 92 | 
| 2010 | 2,274 | 2,274 | 1,883 | 217 | 174 | 
| 2009 | 2,540 | 2,540 | 2,055 | 274 | 211 | 
| 2008 | 2,053 | 2,053 | 1,677 | 186 | 190 | 
서울시에는 매년 2천여건의 정보공개청구가 들어오고 있네요. 이 중 전부공개율은 평균 82%이며 부분공개 10%, 비공개가 8%입니다. 
이는 전체 공공기관의 정보공개현황에 비추어 볼 때 공개율이 약간 높은 수치입니다.
< 연도별 정보공개 처리 현황 >
단위 : 건, (  ) : %
| 구 분 | 계 | 전부공개 | 부분공개 | 비 공 개 | 
| 2010년 | 322,018 | 259,739 | 29,271 | 33,008 | 
| (100) | (81) | (9) | (10) | |
| 2009년 | 301,332 | 244,604 | 30,682 | 26,046 | 
| (100) | (81) | (10) | (9) | |
| 2008년 | 229,650 | 183,722 | 25,516 | 20,412 | 
| (100) | (80) | (11) | (9) | |
| 2007년 | 197,617 | 157,958 | 21,479 | 18,180 | 
| (100) | (80) | (11) | (9) | |
| 2006년 | 132,964 | 106,423 | 13,970 | 12,571 | 
| (100) | (80) | (11) | (9) |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년 400~500건 정도의 정보가 비공개 되거나 부분공개 되고 있는 것인데요. 이렇게 비공개 되었을때는 이의신청, 행정심판, 행정소송 등의 불복구제 절차를 거쳐 공개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정보공개센터에서도 오세훈 시장 당시 과도하게 지출하고 있던 광고비 집행내역을 청구했다가 공개하지 않아 행정심판까지 거쳐 공개 받은 사례가 있기도 했었죠.
서울시의 정보비공개 판결에 따른 행정심판과 행정소송 청구 현황도 함께 청구 해봤는데요. 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구 분 | 청구건수 | 계류중 | 심 판 결 과 | ||
| 취하 각하 | 기각 | 인용 | |||
| 계 | 26 | 3 | 6 | 12 | 5 | 
| 2011.10 | 6 | 3 | 0 | 3 | 0 | 
| 2010 | 6 | 0 | 1 | 2 | 3 | 
| 2009 | 11 | 0 | 3 | 6 | 2 | 
| 2008 | 3 | 0 | 2 | 1 | 0 | 
행정심판 내용 중 일부
4년 동안 총 26건의 행정심판청구가 있었는데요. 그 중 인용 된 것은 5건에 불과하네요. 
행정심판청구 된 것들이 어떤 내용인지 살펴보니 도시계획과 관련한 자료들이 주로 보이는군요. 저희가 했던 광고비 내역 공개도 두 개 보입니다. 2009년에 행정심판에서 공개판결이 나왔는데도 불구하고 그 이듬해 또다시 비공개 해 한 번 더 행정심판청구를 했더랬었죠.
행정심판에서도 비공개되면 행정소송을 거쳐야 하는데요. 4년 동안 서울시를 상대로 한 행정소송 건수는 모두 5건입니다. 2008년에 3건, 2010년에 두 건 있었네요. 심판 결과를 보니 모두 취하각하되었습니다. 소송까지 간 상황에서 모두 청구인이 청구취하를 한 것인데요. 내용을 보니 역시 도시계획, 공사 등이 주요 내용입니다.
| 구 분 | 청구건수 | 계류중 | 심 판 결 과 | ||
| 취하 각하 | 기각 | 인용 | |||
| 계 | 5 | 0 | 5 | 0 | 0 | 
| 2011.10 | 0 | 0 | 0 | 0 | 0 | 
| 2010 | 2 | 0 | 2 | 0 | 0 | 
| 2009 | 0 | 0 | 0 | 0 | 0 | 
| 2008 | 3 | 0 | 3 | 0 | 0 | 
공공기관의 투명성을 확인하는 척도가 몇가지 있습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정보공개인데요. 기관의 업무의 결과와 과정을 얼마나 투명하게 시민들과 공유하느냐를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박원순 서울시장이 취임한 이후, 서울시의 행보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그가 내세웠던 공약이, 또 그가 걸어왔던 길이 기존의 시장들과는 많이 달랐기 때문입니다. 
이번에 박원순 서울시장은 서울시에 서울정보소통센터를 만들어 소통/협력/참여의 열린시정 2.0을 통해 투명한 행정을 구현하겠다는 것을 공약으로 내세우기도 했었는데요.
관련글 보기 : 원순씨의 희망공약 - 소통.협력.참여의 열린시정 2.0
 
관련글 보기 : 원순씨의 희망공약 - 소통.협력.참여의 열린시정 2.0
서울시가 공약을 제대로 이행해 시민들과 참여와 소통을 제대로 일궈내기를 바랍니다. 그러려면 일단 정보공개율 먼저 높여야할 것 같은데.... 박원순 서울시장의 생각은 어떨지 궁금하네요 ㅎㅎ
서울시에서 공개받은 자료 전체를 파일로 첨부합니다. 참고하세요 ^^
'우리의 활동 > 오늘의정보공개청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서울시와 시울시정개발연구원은 밀월관계? (0) | 2011.11.08 | 
|---|---|
| 서울시 25개구 공중화장실 현황 비교해 보니? (1) | 2011.11.07 | 
| 청소년들에겐 '아메리카노'보다 '뉴스'가 더 유해하다 (0) | 2011.11.03 | 
| 지난해 대한민국 광고시장 규모 8조4천억원! (0) | 2011.11.02 | 
| 정부는 어떤 시스템들을 사용하고 있을까? (0) | 2011.11.01 | 
 정보공개처리(즉시).hwp
정보공개처리(즉시).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