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활동/오늘의정보공개청구 1626

서울형어린이집, 국공립을 국공립수준으로?!

아이를 키우는 학부모에게는 저승사자보다 무서운 것이 아마 교육비일텐데요. 국공립시설이 아닌 사립시설로 아이를 맡긴다면 그 교육비가 어마어마합니다. 제가 아는 분은 유치원에 다니는 7살 난 아들을 종일반에 보내는데 한달에 70여만원이 든다고 하십니다. 거기에 준비물비, 각종 행사비를 포함하면 거의 한학기 대학등록금과 맞먹는 수준인데요. 현재 우리나라 어린이집, 유치원등의 교육비가 적게는 30만원부터 많게는 70여만원까지 한다는 기사를 본적이 있습니다. 보육료에 입학금, 그리고 각종 특기적성비, 간식비, 준비물품비가 붙어서라고 하는데요. 맞벌이를 하시는 분들이라면 낮동안 어린이집에 아이를 맡겨야 할수밖에 없는데 그렇게 되면 3-4살때부터 대학등록금을 내는 심정일것 같습니다. 최근 서울시는 민간어린이집에 대해..

서울시 3년간 빛축제하는데 43억여원 사용!

밤이 되어도 어둡지 않은 겨울입니다. 해도 짧고, 어둠도 짙은 겨울 밤이 왜 어둡지 않냐고요? 거리마다 화려한 불빛들이 반짝이기때문인데요. 서울은 다른 지역보다 유난히도 거리가 화려한데요. 직장이 광화문과 가까워서 퇴근할 때마다 광화문광장, 청계광장, 서울광장을 지날때면 그 화려한 불빛들이 장관입니다. 얼마전 퇴근하면서 세종문화회관을 지나면서는 신기한 광경을 봤는데요. 세종문화회관 벽면에 정명훈지휘자의 영상이 비춰지는 겁니다. '빛의 심포니'라는 주제로 세종문화회관에서 공연중인 정명훈 지휘자의 모습이 실시간 생중계된 것이 었는데요. 많은 시민들이 가던 발걸음을 멈추고, 광화문 한가운데서 구경을 하고 있었습니다. 세종문화회관과 ,kt아트홀 건물의 미디어파사드, 광화문광장의 프랙탈거북선,빛의 광장 모두 서울..

2009년, 서울시 구청사 외장막 공사 12억9천5백만원 집행?

정보공개청구 내용 답변내용 1. 2009년 서울시 구청사 모뉴먼트 사업(외장막공사)공개입찰 공고문 게재 일시, 공고문 공개요청 공개입찰 공고문 게재일시, 공고문은 없음 2. 2009년 서울시 구청사 모뉴먼트 사업(외장막 공사) 당초예산 및 추가경정 예산 - 당초 예산 :234,000,000원 - 추가예산 : 1,121,000,000원 * 실체총 지출액: 1,295,394,150원 3. 2010년 서울시 구청사 모뉴먼트 사업(외장막공사)배정 예산 500,000천원(총2회 설치 예산) 지난 1월 11일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에서 서울시 외장막(모뉴먼트)사업에 6억 2천만원이 들어갔다고 공개한적이 있습니다. 서울시 구(舊) 청사 외장막 6개월에 '6억2천만' 사용 하지만 더 많은 돈이 지출되었다는 제보 ..

강남구 미디어 폴? 무엇에 쓰는 물건인고?!

얼마 전 강남역에 놀러 갔다가 요상한(?)물건을 봤습니다. 무슨 탑같기도하고, 가로등같기도 하고,, 이게 뭔가 하고 보니까 '미디어폴'이라고 합니다. 미디어폴은 IT기술을 기반으로 설치된멀티미디어 공공시설물을 말한다고 하는데요. 이렇게 생긴게 강남대로에 22개가 있다고 합니다. 단순 조형물이 아니라 미디어예술작품을 전시하기도하고, 갤러리도 보고 교통, 영화정보를 검색하기도 하고, 사진을 찍거나 인터넷을 검색할 수도 있다고 하는데요. 이 길따랗게 생긴 게 참 맣은 걸 하네요. 서울시는 이 미디어폴을 이용해서 각종 이멘트를 진행, 기업 및 주변 상권과의 연계로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느 것을 목표로 한다는 데요. 얼마나 효과를 낼지는 모르겠습니다. 요즘 서울 곳곳을 다니다 보면, 유난히도 디자인에 신경 쓴 것들..

계속 늘어 나는 성추행사건! 오늘도 무사 귀가 하시길!

2009년 우리 사회 가장 끔찍한 사건 중 하나가 바로 조두순 사건 인데요. 이 사건을 방송에서 처음 접하고 미안하고 안쓰러운 마음에 많이 울었던 기억이 납니다. 조두순으로부터 잔혹하게 성폭행을 당한 8살의 나영이는 얼마전 인공항문을 이식하는 수술을 했다고 합니다. 이 사건을 통해 아동성폭행에 대한 관심은 많이 늘어 났지만 성폭행범의 처벌과 성폭행 피해자들에 대한 후속조치, 그리고 성폭행예방에 대한 논의들은 있지만 법적, 제도적 장치들이 부족한 현실입니다. 얼마전부터는 '대학생 성추행' 이라는 단어가 크게 이슈되고 있는데요. 대학생 신입생환영회에서 한 남학생이 신입 여학생 20명을 성추행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가해 남학생이 죄에 대해 인정하고 있고 학교측에서도 징계위원회를 꾸려 진상을 조사하고 징계수..

장애인 자판기 우선허가제 제대로 지켜지고 있나요?

‘정부기관에서 위탁하는 매점·자판기 등은 장애인에게 우선 배정한다’(장애인복지법) 장애로 인해 노동하는데 제약이 많은 장애인들에게 매점이나, 자판기등을 우선 배정한다는 법이 있습니다. 그런데 저는 주변에서 장애인분들이 운영하는 매점과 자판기를 본 적이 별로 없는 것 같습니다. 여러 이유들이 있겠지만 장애인 우선허가제가 잘 지켜지고 있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경원님께서 장애인복지법에 명시된 위의 내용을 공공기관들에서 잘 지키고 있는지에 대해 정보공개청구를 하셨는데요. 자료를 공개한 55개의 공공기관 중 대부분이 전문업체에 위탁하여 운영하거나 구내식당을 담당하는 업체에게 같이 맡기도 있었습니다. 광진경찰서와 도봉경찰서등과 같이 복지회를 만들어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곳이 있었습니다. 장애인..

마티즈순찰차와 SM5순찰차

거리를 걷다가 순찰차를 만나는 것은 흔한 일이죠? 예전에 비해 순찰차 종류도 다양해 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얼마전 부터는 경순찰차가 도입되어 에너지도 아끼고, 좁은 골목길등을 순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하는데요. 전국 지방 경찰청에서 등록된 순찰차는 얼마나 되고 차종은 어떤 것이 있는지 정보공개청구를 하여 공개받았는데요. 그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각 지방경찰청에서 보유하고 있는 순찰차 현황을 보니 총 3,679대의 순찰차가 있고, 112순찰자의 경우 대부분의 지방경찰청들이 소형자를 위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소나타를 비롯한 중형차도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네요 . 가장 맣은 차종은 sm3이고 엑티언, 투싼등의 suv차량도 있네요. 지역별로는 역시 수도권이 가장 많은 순찰차를 보유하고 있었는데 ..

커피, 서울을 나누다.

커피 좋아하시나요? 피곤한 아침, 나른한 점심시간에 마시는 한잔의 에스프레소는 활력소가 되지요. 비교적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많은 브랜드 커피전문점에는 직장인과 대학생들로 붐빕니다. 경제 불황에도 유독 커피 수입량은 증가하고 커피산업은 가파른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데요. 커피전문점은 국내․외 브랜드를 불문하고 우후죽순 생겨나 서울 도심을 장악했습니다. 그렇다면 혹시 여러분이 살고 있는 동네에는 커피전문점이 몇 개나 있는지 아시나요?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살펴본 서울시 구별 커피전문점 분포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커피전문점 분포도]-이미지를 클릭하시면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주로 사무실과 학원 등이 밀집된 강남․서초 지역, 종로 일대와 중구, 여의도 등지에 많이 분포한 것을 볼 수 있는데요 경제..

노동부의 청년고용대책, 청년실업 해결할 수 있을까?

청년실업, 그리고 장기하의 나는 별 일없이 산다. 이태백(이십대 태반이 백수), 장미족(장기간 미취업 졸업생), NG족(No Graduation) 청년실업이 심각해지다보니 청년실업을 표현하는신조어들도 많이 생겨나고있습니다. 최근에는 청년실신 이라는 말이 유행이라는데요. 대학생들의 취업시기가 점점 늦춰지면서 졸업 후 실업자 또는 신용불량자가 된다는 뜻이랍니다. 마음을 씁쓸하게도 합니다. 청년실업문제를 이야기하자면 이제 입이 아플정도입니다. 취업이 되지 않아 스슬 목숨을 끊는 청년들이 허다하고, 비정규직노동자들은 점점 더 절망적인 삶을 살고 있습니다. 그런 기사거리를 보아도 이제 너무 적응해버린 탓인지 별 느낌도 없는 것이 우리의 현실입니다. 2009년 10월 통계청에 발표한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정보공개청구대회 대상-고영국]서울은 고시원 공화국

2007년 대선 화두는 경제였다. 그리고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가 터지면서 2007년부터 2009년까지 고시원이 얼마나 늘었는지 궁금했다. 또한 같은 기간에 서울은 뉴타운으로 인한 전세대란 및 집값의 상승이 이어졌다. 경제위기에서 가장 힘든 것은 의식주문제이고, 특히 일자리와 사는 곳에 대한 해결문제는 서민층에게 가장 민감하고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을 했다. 이에 따른 고시원의 숫자가 얼마나 늘었을까가 궁금했고 그에 따라 정보공개를 요청했다. 정보공개에 대한 답변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전국 고시원은 모두 6,126개가 있는 데 이중 서울·경기가 전국의 80%인 4,977개나 있다. 2. 전국 고시원 3개중 2개는 서울에 있다. 3. 서울의 관악동작부터 강남·서초·송파·지역은 고시원촌?이다. 구명..